본문 바로가기

옛 직업2

사라진 옛 직업 2탄 : 얼음배달부 – 냉장고가 없던 여름, 그 시절 냉기의 배달자 오늘은 사라진 옛 직업 2탄 . '얼음배달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냉장고가 없던 시절, 여름을 나던 방식지금의 여름은 에어컨과 냉장고, 시원한 음료와 얼음이 넘쳐나는 계절입니다.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50~60년 전만 해도, 여름은 참으로 견디기 어려운 계절이었습니다. 당시 대부분의 가정엔 냉장고가 없었고, 전기도 안정적이지 않았으며,식품 보관도 큰 고민거리였습니다.그 시절, 더위를 견디기 위해 사람들이 의존했던 것은 바로 ‘얼음’이었습니다.지금처럼 냉동실에서 꺼내 쓰는 얼음이 아니라, 거대한 얼음 덩어리.대형 냉동 공장에서 만든 사각형의 투명한 얼음을 잘라내어, 수레나 리어카, 혹은 자전거에 싣고 동네를 돌며 배달하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바로 얼음배달부였습니다."얼음 왔어요~!"무더운 오후,.. 2025. 6. 27.
사라진 옛 직업 1탄 : 우산수선공 – 골목길마다 있었던 뚝딱 장인들 오늘은 지금은 사라진 옛날 직업 중 '우산수선공'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비 오는 날의 풍경, 골목의 장인을 기억하나요?지금처럼 비가 내리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손쉽게 새 우산을 삽니다. 3,000원, 5,000원이면 그럭저럭 쓸 만한 우산 하나쯤은 금방 구할 수 있는 시대니까요. 하지만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우산은 그리 쉽게 버릴 수 있는 물건이 아니었습니다.오래 쓰다보면 우산살이 휘고, 손잡이가 빠지거나, 천이 찢어지기도 했지만 사람들은 새 우산을 사기보다 고쳐서 다시 쓰는 것을 선택했습니다.그때 등장하던 이들이 바로 ‘우산수선공’이었습니다. 골목 입구, 시장통, 또는 지하철 입구 근처에 손수레 하나 두고 자리를 잡은 채, 하루 종일 우산을 고치던 그들. 낡은 작업대 위에.. 2025. 6. 27.